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최재천의 공부>후기. 바라보는 모든 곳에서 얻는 것

320x100

인생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귀중한 요소

학습, 독서,  사유

 

 
최재천의 공부
《최재천의 공부》는 동물과 인간을 깊이 관찰해온 최재천 교수가 10여 년 전부터 꼭 쓰고 싶었던 책으로, 지금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공부에 관한 생각을 총망라한다. 인생 전반에 걸쳐 공부가 왜 중요하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동안 제대로 논의된 적 없는 대한민국 교육의 현실을 톺아보고 미래상을 그려보며 청사진을 제시한다. 하버드대학교 시절 몸소 체득한 경험, 서울대학교에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시절까지 있었던 강의,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통섭적 시야 등이 이 책의 바탕이 되었다. 수많은 청소년과 부모, 청년과 중년, 정부와 기업이 자연과학계의 대가인 최재천 교수에게 물었다. “어떻게 좋아하는 일을 찾을 수 있나요?” “많은 일을 하면서 느긋하게 사는 비결이 있나요?” “아이를 잘 키우는 묘책이 있나요?” “전 지구적 재난 앞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어떤 인재를 뽑고 길러야 할까요?” 인생의 길, 교육의 길, 정책의 길, 경영의 길, 각자가 찾고자 하는 길의 갈래는 다양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사는 길을 찾고 싶어서 배우고 싶다는 것. “벽돌을 쌓듯 빈틈없이 공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1분 1초를 다투지 않고 마감 1주일에 앞서 해치웁니다” “독서는 취미가 아니라 일이어야 합니다” “스승은 제자의 발을 밟지 말아야 합니다” “동물스러운 교육을 합시다” “아이들에게 삶을 돌려줍시다” “토론으로 무엇이 옳은가를 찾아갑시다” “마음 가는 대로 해도 됩니다!” 이번 책에서 최재천 교수는 우리가 궁금했던 질문들에 때로는 부드러운 목소리로, 때로는 단단한 직설화법으로 말을 건다. 생각의 창을 열어주고 배움의 방향을 넓혀주는 지도를 펼쳐보인다.
저자
최재천, 안희경
출판
김영사
출판일
2022.05.18

 

독서는 놀듯이 하는 것이 아닙니다.
전투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공부, 어떻게 배우며 살 것인가>에 의하면 독서의 가치는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고 합니다.

단, 독서는 "취미활동"으로 끝나선 안되고  전투적이고 독하게 해야한다고 전합니다.

최재천 교수님 본인도 독서를 정말 천천히 하고, 어려운 글을 수월하게 읽는 편은 아니지만

입으로 소리내면서 읽어보고, 정말 틈틈히 읽으면서 꼭꼭 소화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장기간 글을 읽는 것은 세상을 날카롭게 보는 힘을 길러주기 때문입니다.

편한 자리에 앉아, 자신이 익숙한 주제로만 쓰여진 글을 읽는 것은 독서가 아닙니다. 그저 쾌락 추구입니다.

불편한 상황에서도 꿋꿋이 읽고, 눈이 침침해도 쳐다보고,

전혀 시도해본 적 없던 분야로 뛰어들어 보는 것이 진짜 독서입니다.

 

뇌의 기능에는 추상화 기능 뿐만 아니라, 일부분의 지식이 다른 부분의 지식으로 확장되는 기능이 있어

새로운 카테고리를 추가하는 것이 내가 갖고 있는 지식의 깊이를 확장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분야로 뛰어들어 단어가 익숙하지 않고, 집중하기 어렵다면 펜으로 줄을 긋거나,

형광펜을 사용해 표시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자연이 곧 인생을 배우는 학습의 장소입니다


본문 중

 

단지 책상에 앉아서, 선생님의 말을 듣고 따르는 것만이 공부는 아닙니다.

 

 

현재, 교육분야에서 간과하고 있는 여러가지 요소 중, 한 가지를 뽑자면 "자연 그 자체"에 대한 학습입니다.

실제로, 미생물과 박테리아가 득시글한 흙에서 유아들이 장기간 놀이활동을 하고, 흙을 맛보기도 하는 과정에서

면역 체계와 사회적 기능이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도 나와있습니다.

인간의 학습은 본래 토양에서 시작되고, 대지에서 투쟁하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흙 뿐만이 아닙니다.

풀밭, 바다, 산, 갯벌 등 모든 꾸미지 않은 환경이 아이의 학교가 됩니다.

심리적인 측면에서도 환경은 그 자체가 특별한 교육장소가 됩니다.

무리지어 사회활동을 하는 개미나 꿀벌, 짝짓기를 하면서 춤을 추는 잠자리,

눈을 떼지 않고 새끼를 보살피는 고양이 등 사회를 만드는 동물들을 보면서 그 현상과 이면에 있는

원리를 배울 수 있습니다. 사회에 대한 학습은 책 만이 아니라 직접 눈으로 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

이제 현대 사회는 한 방향을 향해 줄 세우고,
누가 가장 빠른 속도로 달리는지 경주하는 그런 사회에서 벗어났습니다.

- 본문 중

 

우리 사회는 각자 다른 방향으로 모두 함께 달려나가 모두 1등을 할 수 있는 사회가 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남의 손을 잡고 협력할 수 있습니다.

야생에서의 삶처럼 남의 발을 짓밟고 올라서지 않아도 됩니다.

바닥에 떨어져 있는 사람을 무시하고 달리지 않아도 됩니다.

 

본인이 바닥에 떨어졌다고 주저앉아 있지 않아도 됩니다.

언제나 다시 일어나고, 언제나 남과 함께 뒤에서 밀어주며 뛰어갈 수 있습니다.

<공부>는 물론, 최재천 교수의 여러 저서에서 소개되는 말이지만, 인간은 함께 살아가는 동물입니다.

인간 지능의 한 부분은 경쟁이 아니라 협력을 통하지 않으면 발달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공부는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마치며

 

다양성에 대한 공부는 많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는 어렸을 때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공부는 우리가 커져 가고, 다른 사회 구성원을 키워가는 한 끊임없이 가져가야 합니다.

자기 스스로도 다른 사람의 멘토가 되거나, 다른 이의 인생의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학습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교수님은 다른 사람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삶의 여러 모습도 함께 하고, 인정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인생은 항상 기승전결의 "승"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기", "전", "결" 까지 모두 인생입니다. 성공적인 모습 뿐만 아니라,

어렵거나 힘들었던 시절, 고통스러운 시절 모두입니다.

 

 

오르막길부터 내리막길, 정류장에서 내려오기 직전까지 삶의 모든 부분에서

얻는 것이 진짜 공부라는 생각을 결론지으면서 이번 글을 마치겠습니다.

 

728x90